네트워크 기초 - CS 전공지식 정리
네트워크 기초 개념 정리
· 3 min read
📚 학습 정보 #
- Section: 2.1: Network Basic
- Topic: 네트워크 기초
- Study Date: 2025-08-29
🎯 핵심 개념 정리 #
네트워크의 기본 개념들에 대해 학습 및 요약한다.
주요 키워드 #
- Throughput & Latency
- Network topology
- Network classification
📖 상세 학습 내용 #
Thrghouput & Latency #
- 📝 Throughput(처리량) 은 이더넷이나 패킷 라디오와 같은 통신네트워크에서 통신 채널을 통한 메세지 전달률을 의미한다.1
- 📝 Latency 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시간이며 네트워크에서는 두 기기 사이를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.2
- 📝 Traffic 은 인터넷을 경유하는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한다.3
Network topology #
Tree topology #
- 트리 형태를 가진 Hierarchy topology
- 장점: 계층적 구조로 관리가 용이
- 단점: 특정 노드에 트래픽 집중 시 하위 노드에 영향
graph TD A[Root Hub] --> B[Hub 1] A --> C[Hub 2] B --> D[Node 1] B --> E[Node 2] B --> F[Node 3] C --> G[Node 4] C --> H[Node 5] C --> I[Node 6] style A fill:#ff9999 style B fill:#99ccff style C fill:#99ccff
Bus topology #
- 중앙 통신 회선 하나에 여러개의 노드가 연결
- 장점: 간편하고 비용이 낮으며 신뢰도가 높다.
- 단점:
⚠️ 스푸핑(Sfooping[^4])이 가능하다
.
스푸핑은 스위칭 기능을 마비시켜 속임을 이용한 공격의 총칭이다.
graph TB N1[Node 1] ---|T자 연결| BusLine N2[Node 2] ---|T자 연결| BusLine BusLine[📡 공통 버스 라인<br/>━━━━━━━━] N3[Node 3] ---|T자 연결| BusLine N4[Node 4] ---|T자 연결| BusLine N5[Node 5] ---|T자 연결| BusLine style BusLine fill:#fff3e0,stroke:#ff6600,stroke-width:3px style N1 fill:#e3f2fd style N2 fill:#e3f2fd style N3 fill:#e3f2fd style N4 fill:#e3f2fd style N5 fill:#e3f2fd
Star topology #
- 중앙 노드에 전체 노드를 연결한 topology
- 장점: 패킷의 충돌 가능성이 낮다.
- 단점: Single Failure Point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설치비가 비싸다.
flowchart TD N1[Node 1] --- Hub[🌟 중앙 Hub] N2[Node 2] --- Hub Hub --- N3[Node 3] Hub --- N4[Node 4] Hub --- N5[Node 5] Hub --- N6[Node 6] style Hub fill:#ff9999,stroke:#333,stroke-width:3px style N1 fill:#e3f2fd style N2 fill:#e3f2fd style N3 fill:#e3f2fd style N4 fill:#e3f2fd style N5 fill:#e3f2fd style N6 fill:#e3f2fd
Ring topology #
- 각 노드 옆 두 노드와 연결하며 노드에서 노드로 데이터를 이동시킨다.
- 장점: 네트워크 손실이 없으며 출력이 낮아지지 않는다.
- 단점: 구성 변경이 어렵다.
graph LR N1[Node 1] <--> N2[Node 2] N2 <--> N3[Node 3] N3 <--> N4[Node 4] N4 <--> N5[Node 5] N5 <--> N6[Node 6] N6 <--> N1 style N1 fill:#99ff99 style N2 fill:#99ff99 style N3 fill:#99ff99 style N4 fill:#99ff99 style N5 fill:#99ff99 style N6 fill:#99ff99
Mesh topology #
- 그물처럼 전체가 다 연결되어 있는 topology
- 장점: 💡 강건성이 있다 .
- 단점: 노드 추가 삭제가 어렵고 설치, 운용 비용이 높다.
graph TD %% 별 모양 배치 - 중앙과 사방으로 N1[Node 1] --- N2[Node 2] N1 --- N3[Node 3] N1 --- N4[Node 4] N1 --- N5[Node 5] %% 외곽 노드들끼리도 모두 연결 (완전 연결 그래프) N2 --- N3 N2 --- N4 N2 --- N5 N3 --- N4 N3 --- N5 N4 --- N5 style N1 fill:#ff6b6b,stroke:#333,stroke-width:2px style N2 fill:#4ecdc4,stroke:#333,stroke-width:2px style N3 fill:#45b7d1,stroke:#333,stroke-width:2px style N4 fill:#96ceb4,stroke:#333,stroke-width:2px style N5 fill:#feca57,stroke:#333,stroke-width:2px
Network classification #
- LAN: 건물 및 캠퍼스단위의 네트워크이며 비교적 높은 속도와 낮은 혼잡도를 가진다.
- MAN: 대도시 및 지역 단위의 네트워크이며 보통 속도와 LAN보다 높은 혼잡도를 가진다.
- WAN: 광역 또는 대륙 단위의 네트워크이며 속도가 낮고 혼잡도가 높다.
graph TB subgraph "네트워크 분류 (범위별)" LAN["🏢 LAN<br/>(Local Area Network)<br/>• 건물/캠퍼스<br/>• 높은 속도<br/>• 낮은 혼잡도"] MAN["🏙️ MAN<br/>(Metropolitan Area Network)<br/>• 대도시/지역<br/>• 보통 속도<br/>• 중간 혼잡도"] WAN["🌍 WAN<br/>(Wide Area Network)<br/>• 광역/대륙<br/>• 낮은 속도<br/>• 높은 혼잡도"] end LAN --> MAN MAN --> WAN style LAN fill:#c8e6c9 style MAN fill:#fff3e0 style WAN fill:#ffcdd2
Network protocol #
네트워크 프로토콜은 IEEE 802.3을 따르고 있다.